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AMI) 타당화 =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ith a Korean worker sample
Kim, Sujin (2014)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AMI) 타당화 =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ith a Korean worker sample. Masters (Research)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Full text not available from this repositoryAbstract
Full text in Korean.
English abstract:
In order to measure meaningfulness of working in our nation's workers, this study intended to validate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AMI' developed by Steger(2012). So, manufacturing a Korean version of WAMI through adaptation of the original inventory, this study identified a factor structure, verifi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appli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relationship with related variables.
Specific procedures an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0 items of the original inventory were adapted through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and a questionnaire was drawn up including items of the preliminary inventory and demographics.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or 200 male and female workers at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usability of questions was evaluated through preliminary item analysis, and identified adequacy of the mean, item-total correlation, and internal consistency.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data from pilot study, it showed that 1 factor is adequate.
Second, in order to identify a factor structure of the final inventory,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10 male and female workers at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examined a construct validity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it set a 3-factor model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as a competition model, and identified a model fitting for the inventory most through comparing goodness of fit in the 1 factor model resulted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pilot study. As the result, it showed that 3-factor cross correlation model is most fit in terms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inventory.
Third,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WAMI, as the result of calculating α value of internal consistency, showing higher internal consistency of both entire inventory and factors, it revealed that the inventory was organized with reliability.
Fourth, discrimina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related inventories for additional validity validation.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calling inventory, i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existence of calling rather than pursuit of calling, a subscale of calling. Particularly, it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existence of calling in positive meaning in work, great good motivations, subscales of the Korean version of WAMI.
Fifth, in order to verify the predictive validity as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this study identified whether meaningfulness of working predicts meaning in life, job satisfaction and absence from work. As the result of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meaningfulness of working predicted significantly meaning in life, job satisfaction, particularly having a higher explanatory power in job satisfaction. However, it showed that meaningfulness of working doesn't predict absence from work, showing a great difference from American research findings. It seemed to be resulted from characteristic of Korean workers who are rarely away from work.
Sixth, in order to examine a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WAMI and related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was conducted. As the result, meaning in life has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with complete mediation of meaningfulness of working. Especially, it is noteworthy that searching for meaning in life didn't show significance in the path meaningfulness of working goes toward job satisfaction, but existence meaning in life showed significance in such a path.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troduced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measuring meaningfulness of working within the country through validating WAMI in a Korean version. Therefore, promoting domestic studies on measurement of meaningfulness of working and examining influence on scenes of career consultation, workplace counselling and an organization in terms of meaningfulness of working, it is expected to be used valuably in a variety of fields.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일의 의미를 측정하기 위해 Steger(2012)가 개발한 일의 의미 척도(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AMI)를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를 번안하여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를 제작하여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그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관련 변인과의 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구체적 절차와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척도의 10개 문항들을 번역 및 역번역 절차를 거쳐 번안하고 예비 척도의 문항과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남녀 직장인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예비 문항의 문항분석을 통하여 문항의 양호도를 평가하고 평균, 문항-총점 상관, 내적합치도 등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예비 연구의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요인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종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자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남녀 직장인 2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3요인 모형을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예비 연구의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인 1요인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여 본 척도에 가장 잘 부합하는 모형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본 척도의 구성 타당도는 3요인 상호 상관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 합치도 α값을 산출한 결과 전체 척도와 각 요인의 내적 합치도가 모두 높게 나와 본 척도에 제시된 내용이 신뢰롭게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추가적인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관련 척도들과 상관 분석을 통해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소명 척도와 상관관계 분석 결과, 소명의 하위 척도인 소명 추구보다는 소명 존재와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특히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의 하위 척도인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 공공의 선을 위한 동기에서 소명 존재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준거-관련 타당도 중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의 의미가 삶의 의미, 직무/직업 만족, 결근을 예측하는지 확인하였다. 단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의 의미가 삶의 의미, 직무/직업 만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특히 직무/직업 만족의 경우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의 의미는 결근을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미국 연구에서의 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거의 결근을 하지 않는 한국 직장인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와 관련 변인과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 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삶의 의미가 직무/직업 만족에 영향을 끼치는데 일의 의미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삶의 의미 추구는 일의 의미가 직무/직업 만족으로 가는 경로에서 유의미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삶의 의미 발견은 일의 의미가 직무/직업 만족으로 가는 경로에서 유의미성을 나타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는 일의 의미 척도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여 일의 의미(meaningfulness)를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를 국내에서 소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일의 의미에 대한 측정과 관련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일의 의미에 대한 진로 상담 장면, 기업 상담 장면, 조직 장면에서의 영향력을 밝히면서 다양한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tem ID: | 77285 |
---|---|
Item Type: | Thesis (Masters (Research)) |
Additional Information: | This thesis is openly accessible from the link to EWHA Womans University's institutional repository above. |
Date Deposited: | 01 Mar 2023 02:31 |
FoR Codes: | 52 PSYCHOLOGY > 5203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 520303 Counselling psychology @ 100% |
SEO Codes: | 16 EDUCATION AND TRAINING > 1602 Schools and learning environments > 160206 Workforce transition and employment @ 50% 28 EXPANDING KNOWLEDGE > 2801 Expanding knowledge > 280121 Expanding knowledge in psychology @ 50% |
Downloads: |
Total: 2 |
More Statistics |